경복궁, 덕수궁, 종묘

덕수궁에도 가끔가고, 경복궁에도 간다. 추석 전에는 분위기에 맞게 종묘에 갔었다. 종묘에서 창경궁으로 넘어가는 다리를 건너면서, 뭔가 미안한 생각이 들었다. 아마 다람쥐에게 느낀 감정이었던것 같다.

그런 곳을 찾을 때마다, 외국의 도시계획 하는 사람들이 서울에 와서 했다는 이야기가 떠올랐다.

  1. "이것이 육백년된 도시가 맞나요?"
  2. "한강에 가려면, 이렇게 터널을 지나야만 하는 건가요?"

1. 육백년 된 도시

하다못해, 금강제화 건너편에 있는 “탑골공원”만 해도, 안에 들어가보면 정말 깔끔하고 이쁘다. 사진찍기도 참 좋고… 바로 바깥에 몇차선의 대로가 있는 시내 한가운데라는 것이 느껴지질 않는다.

또, 종묘안에 들어가면, 그 정돈된 처마를 보면서 저절로 정숙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그렇지만, 탑골공원에서는 바깥의 빌딩들이 시야에 들어올 수 밖에 없고, 나라의 제사를 지내던 종묘의 정문에서는 대낮부터 포장마차에서 술판이 벌어지곤 한다. 문에서 가까운 곳에서는 바깥의 뽕짝테이프 소리가 들려오기도 한다.

2. 한강으로 들어가는 길

동작역에서 내려서 바로 보이는 반포동 주공아파트에서 한강으로 들어가는 길을 걸어본적이 있다. 올림픽대로가 있기 때문에, 걸어서 갈수는 없을것으로 알았는데, 그곳에 사는 형을 쫓아가보니, 길이 .. .있었다. 다만, 인적이 드문 88대로옆의 인도를 따라서 조금 걷다가, 축축해보이는 굴다리를 통과해야만 했다.

원래, 그쪽 “고수부지” 는 차를 타고 88을 달리다가 들어가는 것이 “올바른” 접근법인걸까..

3. 정동길

정동길을 구불구불하게 만들었던 서울시 공무원이 생각난다. 그길, 가끔 일부러라도 걷고 싶어진다. 만나면 칭찬이라도 해주고 싶지만, 머, 내가 승진시켜줄수 있는 사람도 아니고… 내 칭찬이 소용있을까나.. 암튼..

4. 문화일보

이번에 누가와서 또 한마디 하셨다.

미국과 호주 같이 역사가 짧은 나라들은 돈이 아무리 많아도 한국이 가진 문화유산을 가질 수 없습니다. 그런 만큼 한국은 시기를 놓치지 않고 투자를 해 주변의 상점이나 공장 등을 다른 장소로 옮겨야 합니다. 이런 투자가 아깝다고 생각될지 모르지만 결과적으로 관광객들을 불러들여 지역주민들에게 도움이 될 거예요. 단기적인 경제적 이득보다 이들 문화유산이 한국인들의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얼마나 중요한지도 생각해야 할 것입니다

구구절절히 옳은 말씀이다. 다만, 어린시절의 쓰리나인이… 내 정체성에 꽤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안타깝지만, 그래도, 정체성이란.. 중요한 것!

낙안읍성(사적 302호)이나 창덕궁의 개별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는 훌륭하지만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는 점이 안타깝습니다. 주변에 상점이나 공장, 높은 건물들이 마구잡이로 들어서 있어요. 현재 세계문화유산인 창덕궁의 경우 현실적으로 지금 존재하는 건물들을 없애는 게 불가능하겠지만 앞으로 다시 높은 건물이 주변에 들어선다면 ‘위기유산’에 등록시키도록 제안할 것입니다

위 글의 원본은 문화일보다.


댓글

SOKO : 생각하면서 하는 서울기행 느낌이 좋았습니다. 프린트해서 시간나면 확인 답사나 해 볼까요? ^^ (2003-09-16 11:58:09)

김도연 : 저는 서울을 이렇게 만든 사람들을 생각하면 어떤 때는 심지어 “살의”를 느끼기까지 합니다. 정말 화가 납니다. “그 때는 어쩔 수 없었을 거야…“라고 생각해보려고 해도, 제 좁은 속으로는 도저히 이해가 안됩니다. 아마도 제가 그만큼 이 어둡고 빽빽한 회색도시를 좋아하기 때문인가봅니다. 언젠가는 초록색 도시가 될 날을 꿈꿔봅니다만, 그게 쉽지는 않겠죠. (2003-09-16 13:59:32)